카를 카우츠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를 카우츠키는 프라하에서 태어나 빈 대학교에서 역사, 철학, 경제학을 공부한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이다. 그는 잡지 《디 노이에 차이트》를 창간하고 편집하며 마르크스주의 이론을 전파했고, 독일 사회민주당의 에르푸르트 강령 기초에 참여했다. 베른슈타인의 수정주의에 반대하며 정통 마르크스주의를 옹호했으나, 점차 수정주의적 경향을 보였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전쟁 채권 발행에 반대하며 독립사회민주당 창당을 주도했으며,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를 비판했다. 그는 다양한 저술 활동을 통해 마르크스주의 이론을 발전시켰으며, 제국주의와 과소소비론을 주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인터내셔널의 인물 -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은 독일의 사회주의 이론가이자 정치인으로, 마르크스주의를 수정하여 사회 개혁을 강조한 수정주의의 대표적인 인물이며, 저서 《사회주의의 전제조건》을 통해 수정주의 논쟁을 촉발하고 독일 제국 의회 의원을 역임했다. - 체코의 사회주의자 - 야로슬라프 하셰크
체코의 소설가이자 언론인인 야로슬라프 하셰크는 무정부주의 운동 참여,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러시아 혁명 참여 등 다양한 활동을 했으며, 풍자 소설 《착한 병정 슈베이크》를 통해 전쟁의 부조리함과 관료주의를 비판하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고 반전 문학의 고전으로 평가받는다. - 정통마르크스주의자 - 멘셰비키
멘셰비키는 1903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서 분열되어 형성된 파벌로, 당 구성원의 자격을 폭넓게 인정하고 개량주의적 경향을 보였으나,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와의 갈등으로 세력이 약화되어 불법화되었으며, 율리 마르토프가 주요 지도자이다. - 정통마르크스주의자 - 대니얼 더리온
대니얼 더리온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미국의 사회주의 운동가, 이론가, 혁명가로서, 사회주의 노동당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며 당의 이론적 노선을 주도했고, 산업별 노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회주의와 노동 운동에 대한 자신의 사상을 널리 알렸다.
카를 카우츠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카를 요한 카우츠키 |
출생 | 1854년 10월 16일 |
출생지 | 오스트리아 제국, 프라하 |
사망 | 1938년 10월 17일 (84세) |
사망지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
국적 | 오스트리아 |
종교 | 가톨릭교; 이후 무신론 |
배우자 | 루이제 카우츠키 (1890년 결혼) |
학문 | |
분야 | 철학, 정치학, 경제학, 역사학 |
모교 | 빈 대학교 |
학파 | 정통 마르크스주의, 생물학주의 |
주요 관심사 | 정치 철학, 정치, 경제학, 역사 |
영향 | 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찰스 다윈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브루노 바우어 임마누엘 칸트 존 스튜어트 밀 요제프 디츠겐 |
영향을 준 인물 | 콘라트 로렌츠 빌리 브란트 카를 레너 오토 바우어 브루노 크라이스키 막스 아들러 루돌프 힐퍼딩 블라디미르 레닌 이오시프 스탈린 레온 트로츠키 |
주요 사상 | 진화적 인식론 사회적 본능 능동적 적응 초제국주의 |
2. 생애
카를 카우츠키는 1854년 프라하에서 태어나 1874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역사, 철학, 경제학을 공부했다. 그는 저술가이자 화가로도 활동했다. 1880년에서 1882년 사이에는 칼 회흐베르크와 함께 일했으며,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을 통해 마르크스주의를 접하게 되었다. 1883년에는 잡지 〈새시대(Die Neue Zeit)〉를 창간하여 1917년까지 발행인 겸 편집자로 활동하면서 정치, 역사 연구를 통해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권위자로 자리매김했다. 1885년부터 1890년까지는 런던에서 프리드리히 엥겔스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고, 1890년 이후에는 독일에서 활동했다.
1875년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에 입당한 카우츠키는 1891년 아우구스트 베벨,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과 함께 독일 사회민주당의 에르푸르트 강령을 기초하며 사회주의 사회 건설을 위해 노력했다. 프리드리히 엥겔스 사후에는 독일 사회민주당의 핵심 이론가로서 마르크스주의적 입장을 견지했다.
1903년 당내에서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의 수정주의에 맞서 정통 마르크스주의를 옹호했지만, 점차 수정주의에 가까워졌다.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이 볼셰비키와 멘셰비키로 분열되자 멘셰비키를 옹호하며 블라디미르 레닌을 비판했다.
1909년 《집권의 길(Der Weg zur Macht)》을 출판했고,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에는 독일 사회민주당 지도부의 전쟁 지원에 반대하며 로자 룩셈부르크, 카를 리프크네트 등과 함께 독립사회민주당 창당을 주도했다.
1918년 러시아 혁명 이후 레닌과 볼셰비키를 비난하는 한편, 독일 독립사회민주당을 독일 사회민주당에 통합시키고 반전주의 원칙에서도 타협하여 스파르타쿠스단과 독일 공산당 및 레닌에게 비판받았다. 1925년에는 '개혁을 통한 사회주의'를 주장하는 독일 사회민주당의 하이델베르크 강령을 공동 기초했다.
1918년과 1919년에는 인민대표평의회에서 외무청 차관보를 역임했다.
1924년 빈으로 돌아간 후에는 주로 레닌과 볼셰비키 비판에 몰두했다. 오스트리아 함락 이후 네덜란드로 망명하여 암스테르담에서 생을 마감했다. 카우츠키는 루이제 론스페르거와 결혼하여 세 아들을 두었으며, 베를린 프리덴나우에서 오랫동안 살았다. 그의 집에는 기념 현판이 남아 있으며, 로자 룩셈부르크와 그의 부인 루이제 카우츠키는 깊은 우정을 나누었다.
2. 1. 초기 생애
카를 카우츠키는 1854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프라하에서 예술가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체코 출신의 무대 디자이너 요한 카우츠키와 오스트리아 출신의 배우이자 작가인 미나 카우츠키였다.[1] 카우츠키가 7살 때 가족은 빈으로 이주했다.[1] 그는 1874년부터 빈 대학교에서 역사, 철학, 경제학을 공부했으며,[1] 1875년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SPÖ)의 회원이 되었다.[1]2. 2. 정치 경력
1880년 카를 횝베르크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취리히에 있던 독일 사회주의자 그룹에 합류했다.[2] 1883년 슈투트가르트에서 월간지 《디 노이에 차이트》(Die Neue Zeit, "새로운 시대")를 창간하고 1917년까지 발행인 겸 편집자로 활동했다.[2] 1885년부터 1890년까지 런던에서 거주하며 프리드리히 엥겔스와 교류했다.[3] 1891년 아우구스트 베벨,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과 함께 독일 사회민주당(SPD)의 에르푸르트 강령을 공동 작성했다.엥겔스 사후, 독일 사회민주당의 주요 이론가로서 마르크스주의 중도파를 이끌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독일 사회민주당의 전쟁 채권 찬성에 반대하며 기권을 주장했다. 1917년 전쟁에 반대하는 사회주의자들과 함께 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을 창당했다. 1918년 독일 11월 혁명 이후 단명한 사회민주당-USPD 혁명 정부에서 외무청 차관보를 역임했다.
1920년 USPD 분열 이후, 다시 SPD로 복귀했다.[4] 1924년 가족과 함께 빈으로 돌아갔으며, 1938년 나치 독일의 오스트리아 병합 이후 네덜란드로 망명하여 암스테르담에서 사망했다.
3. 주요 사상
카를 카우츠키는 마르크스주의 이론가로, 1883년 잡지 〈새시대(Die Neue Zeit)〉를 창간하여 1917년까지 발행인 겸 편집자로 활동하며 정치, 역사에 관한 연구를 썼다.[3] 1891년 아우구스트 베벨,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과 함께 독일 사회민주당의 에르푸르트 강령을 기초했으며, 프리드리히 엥겔스 사후 독일 사회민주당의 주요 이론가가 되었다.
1909년 《집권의 길(Der Weg zur Macht)》을 출판하였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사회민주당이 전쟁 참전에 찬성하자, 이에 반대하여 당을 탈당하고 독립사회민주당 창당을 주도했다. 1925년에는 '개혁을 통해 사회주의에 이른다'는 사민당의 하이델베르크 강령을 공동 기초하였다.
3. 1. 정통 마르크스주의와 수정주의 논쟁
1891년 아우구스트 베벨,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과 함께 독일 사회민주당의 에르푸르트 강령을 기초했다.[3] 프리드리히 엥겔스 사후 그는 독일 사회민주당의 가장 중요하면서도 영향력있는 이론가가 되었고, 베벨과 함께 당의 마르크스주의 주류를 대표했다.1903년 카우츠키는 당내에서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의 수정주의에 맞서 정통 마르크스주의를 방어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 자신도 수정주의에 기울게 되었다.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이 급진적인 볼셰비키와 의회 중심적인 멘셰비키로 분열되자 카우츠키는 멘셰비키를 옹호하며, 레닌이 당을 분열시켰다고 비판했다.
카우츠키는 자본주의의 생명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과소소비론을 내세웠다. 그는 노동자들의 낮은 임금 수준과 자본가들의 과소소비 때문에 잉여생산물이 흡수되지 못하고, 이것이 해외로 진출하여 식민주의와 제국주의를 낳는다고 보았다.
카우츠키는 사회주의혁명에 대한 전술에 있어서 객관적 조건이 성숙된 후 필연적으로 혁명이 뒤따라온다고 보았다. 그는 서구 사회는 아직 객관적 조건이 성숙되지 않았기 때문에 혁명이 일어나지 않으며, 물적 토대에서 아직도 자본주의가 생명을 유지할 여력이 남아있고, 상부구조에서도 노동자들의 의식이 완전히 깨이지 않았다고 보았다. 이러한 관점은 결국 카우츠키가 독일 사회민주당 내의 개혁을 중요시하게 만들었고, 제1차 세계 대전에 대한 독일 참전에 찬성하는 입장으로 이어졌다.
3. 2. 러시아 혁명과 볼셰비키 비판
1918년 10월 혁명 이후 블라디미르 레닌과 볼셰비키의 일당 독재를 비판했다.[5] 그는 《프롤레타리아 독재》(1918)에서 소비에트 사회주의 정권을 일당 독재라고 비난하며, 민주주의에 의한 사회주의 실현을 주장했다.이에 대해 레닌은 《프롤레타리아 혁명과 배반자 카우츠키》(1918년)에서 카우츠키를 "배반자" 등으로 격렬하게 비난했으며, 그의 의회주의를 기회주의라고 비판했다.[6]
3. 3. 제국주의론
카우츠키는 제국주의를 자본주의의 과잉 생산과 과소 소비의 결과로 발생하는 현상으로 파악했다. 그는 잉여 자본이 해외로 진출하여 식민지 지배와 제국주의 전쟁을 야기한다고 주장했다.[3] 이러한 그의 제국주의론은 레닌 등 다른 사회주의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4. 제1차 세계 대전과 카우츠키의 입장 변화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사회민주당이 전쟁 참전에 찬성하고 새로운 국채 발행에 동의하는 등 제2인터내셔널의 반전(反戰) 원칙을 어기자, 카우츠키는 이에 반대하여 기권을 제안했다.[2] 초기에는 독일이 차르 러시아의 위협에 맞서 방어 전쟁을 벌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전쟁이 장기화되자, 1915년 6월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후고 하아세와 함께 사회민주당의 친전쟁 지도자들을 비판하고 독일 정부의 병합주의 목표를 비난하는 호소를 발표했다.[3] 1917년 전쟁에 반대하는 사회주의자들과 함께 사회민주당을 떠나 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에 합류했다.
이후 카우츠키는 독일 독립사회민주당을 당시에 여전히 전쟁에 참여하던 독일 사회민주당측에 통합하였으며 반전주의 원칙에서도 타협을 했으며 이로 인해 스파르타쿠스단과 독일 공산당과 레닌의 비판을 받았다. 독일의 11월 혁명 이후, 카우츠키는 단명한 사회민주당-USPD 혁명 정부에서 외무부 차관으로 근무하며 독일 제국의 전쟁 책임을 부인하는 문서를 찾는 데 힘썼다.
5. 한국 사회에의 시사점
카를 카우츠키의 사상은 20세기 초 사회민주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그의 여러 한계는 현대 한국 사회에서 사회민주주의 운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카우츠키가 민주주의적 사회주의를 옹호한 점은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 사회주의 운동의 역사적 맥락에서 볼 때, 점진적 개혁을 통한 사회 변화를 추구하는 사회자유주의적 관점과 유사성을 보인다.
카우츠키의 제국주의론은 한국의 관점에서 볼 때 일본 제국주의에 의해 식민 지배를 겪었던 역사적 경험을 고려하여 제국주의에 대한 논의를 더욱 심화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카우츠키의 입장 변화는 사회민주주의 운동이 전쟁과 국가주의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견지해야 함을 시사한다.
6. 저서
- 《카를 마르크스의 경제 교리》(The Economic Doctrines of Karl Marx, 1887/1903)
- 《토마스 모어와 그의 유토피아》(Thomas More and his Utopia, 1888)
- 《계급 투쟁》(The Class Struggle (Erfurt Program)), 다니엘 드 레온(Daniel DeLeon) 번역, 뉴욕: New York Labor News Co., 1899.
- 《종교개혁 시대의 중앙 유럽의 공산주의》(Communism in Central Europe at the Time of the Reformation), J.L. & E.G. Mulliken 번역, 런던: T.F. Unwin, 1897.
- 《근대 사회주의의 선구자》(Forerunners of Modern Socialism), 1895.
- 《프리드리히 엥겔스: 그의 생애, 그의 작품, 그의 저술》(Frederick Engels: His Life, His Work and His Writings), 메이 우드 시몬스(May Wood Simons) 번역, 시카고: Charles H. Kerr & Co., 1899.
- 《농업 문제에 관하여》(On the Agrarian Question, 1899), 피트 버제스(Pete Burgess) 번역, 런던: Zwan Publications, 1988.
- 《사회 혁명과 사회 혁명 다음 날에 관하여》(The Social Revolution and On the Day After the Social Revolution), J. B. 애스큐(J. B. Askew) 번역, 런던: Twentieth Century Press, 1903.
- 《사회주의와 식민 정책》(Socialism and Colonial Policy, 1907)
- 《카를 마르크스의 역사적 업적》(The Historic Accomplishment of Karl Marx, 1908)
- 《윤리학과 유물론적 역사관》(Ethics and the Materialist Conception of History), J. B. Askew 번역, 시카고: Charles H. Kerr & Co., 1909.
- 《권력으로 가는 길》(The Road to Power), A.M. Simons 번역, 시카고: Samuel A. Bloch, 1909.
- 《계급 투쟁》(The Class Struggle (Erfurt Program)), William E. Bohn 번역, 시카고: Charles H. Kerr & Co., 1909.
- 《금융 자본과 위기》(Finance-Capital and Crises, 1911)
- 《생활비: 금 생산의 변화와 물가 상승》(The High Cost of Living: Changes in Gold Production and the Rise in Prices), 시카고: Charles H. Kerr & Co., 1914.
- 《빌헬름 호엔촐레른의 죄》(The Guilt of William Hohenzollern), 런던: Skeffington and Son, n.d. (1919).
- 《프롤레타리아 독재》(The Dictatorship of the Proletariat), H. J. 스테닝(H. J. Stenning) 번역, 런던: National Labour Press, n.d. (c. 1919).
- 《테러리즘과 공산주의: 혁명의 자연사에 대한 기여》(Terrorism and Communism: A Contribution to the Natural History of Revolution), W.H. Kerridge 번역, 런던: National Labour Press, 1920.
- 《열두 명이 죽어야 한다: 모스크바에서 사회주의 혁명가들의 재판》 (Preface to ''The Twelve Who Are to Die: The Trial of the Socialists-Revolutionists in Moscow), 베를린: 사회주의 혁명가당 대표단, 1922.
- 《기독교의 기원》(Foundations of Christianity): A Study of Christian Origins), 뉴욕: International Publishers, 1925.
- 《노동 혁명》(The Labour Revolution), H. J. 스테닝(H. J. Stenning) 번역, 런던: National Labour Press, 1925.
- 《유대인은 인종인가?》(Are the Jews a Race?), 뉴욕: International Publishers, 1926.
- 《공산주의 대 사회주의》(Communism vs. Socialism), Joseph Shaplen 번역, 뉴욕: American League for Democratic Socialism, 1932.
참조
[1]
논문
[2]
웹사이트
"Not One Man! Not One Penny!" German Social Democracy, 1863-1914
http://faculty.gouch[...]
2007-07-27
[3]
학술지
Karl Kautsky and Marxist Historiography
2006-07-01
[4]
서적
Georgia
2021-06-10
[5]
웹사이트
Marxism and Bolshevism
https://www.marxists[...]
2020-04-15
[6]
서적
Social Democracy vs. Communism
https://www.marxists[...]
2015-11-07
[7]
서적
Social Theory: a historical introduc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